기대 개수1 [데이터 분석] 귀무가설, 대립가설, 기대 개수, 검정 통계량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는 사항을 가설로 세우고, 이 가설이 실제로 맞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이 바로 통계분석 과정이다. 통계분석 과정에서 쓰이는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들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 귀무가설 (Null Hypothesis, H0) 귀무가설, 입에 붙지 않는 단어이다. 예를 들어 한 영화관에서, 상영하는 영화의 장르가 간식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상영 영화 시간에 맞게 스낵을 알맞은 재고로 맞춰두고 싶어 한다면 데이터 분석을 할 줄 아는 당신이라면 조언해 줄 수 있을 것이다. A : "영화 장르가 간식류 구매에 영향을 줄 거 같아?" B : "아니, 다 비슷하겠지" A : "아니야 근데 내 생각엔 사람들이 공포영화 보러 들어갈 때 더 팝콘을 많이 구매하는 거 같아" B : "느낌일 뿐이지 어떻.. 2022. 11. 3. 이전 1 다음